목록
산 | 한자 | 고도 | 위치 | 설명 | 웹 |
---|---|---|---|---|---|
개운산 | 開運山 | 328m | 성북구 | ||
개웅산 | 開雄山 | 125m | 구로구 | ||
개화산 | 開花山 | 132m | 강서구 | ||
관악산 | 冠岳山 | 632m | 관악구, 시흥시, 과천시, 안양시 | 원각사와 연주암등 크고 작은 사찰과 암자가 많으며, 벼랑 위에 있는 연주대가 유명하다. | [1] |
구룡산 | 九龍山 | 283m | 서초구 | 산이 높지 않아, 주변 주민들이 산책이나 운동을 즐긴다 | [2] |
굴봉산 | 窟峰山 | 145m | 구로구 | ||
금호산 | 金湖山 | 140m | 성동구, 중구 | 정상에 해병대 군부대가 있어서, 주민들 사이에 해병대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
낙산 | 駱山 | 125m | 종로구, 동대문구, 성북구 | 낙타의 등과 비슷한 모양한 모양이라 낙타산, 타락산 또는 낙산이라고 부른다. 서울도성의 동산에 해당되며, 풍수지리상 서쪽 우백호의 인왕산에 대치되는 동쪽 좌청룡에 해당한다. | [3] |
남산 | 南山 | 262m | 중구, 용산구 | N 서울타워가 있어서, 서울 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4] |
남한산 | 南漢山 | 522m | 송파구, 광주시 | 남한산성이 위치한 산이다. 주변의 산과 비슷한 높이로 이어져있어 산세의 구별이 모호하다. | |
노고산 | 106m | 마포구 | 서강대학교의 뒷편에 위치한 밋밋한 구릉성의 산이다. | ||
대모산 | 大母山 | 293m | 강남구 | 근교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이 휴식공간으로 자주 찾는 산이다. | [5] |
대현산 | 123m | 성동구 | 대현산은 응봉의 줄기이며, 인근 주택가가 아파트단지로 재개발되었다. 사방으로 서울 동부지역을 조망하기 좋다. | ||
도봉산 | 道峰山 | 740m | 도봉구, 양주시, 의정부시 | 교통이 편리하며 기암괴석과 암봉들이 특징적이다. | [6] |
매봉산 | 95m | 강남구 | 독구리산이라고도 불린다. 산 아래에 돌이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도곡동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 ||
매봉산 | 172m | 용산구, 중구, 성동구 | 매봉산은 응봉근린공원은에 포함되어 있으나 현재는 매봉산으로 불리고 있다. 옛날에는 응봉(鷹峰)으로 통칭되었으나 현재는 매봉산, 금호산, 대현산, 대현산배수지공원, 응봉산으로 나뉘었다. 응봉근린공원의 전체적인 면적은 670,168㎡이고, 자치구별 면적은 용산구(172,217㎡), 중구(115,418㎡), 성동구(382,533㎡)이며 자치구별로 분할하여 관리한다. | ||
매봉산 | 108m | 구로구 | 아기자기한 숲길로 유명하다. 오류동역에서 가까우며, 궁동터널이 지나는 산이기도 하다. | ||
배봉산 | 拜峰山 | 106m | 동대문구 | ||
백련산 | 白蓮山 | 216m | 은평구, 서대문구 | 야트막한 산이지만 응암동, 구파발, 홍은동 일대 주민들이 자주 찾으며, 산내에는 백련사라는 절이 있다. | [7] |
벽오산 | 碧梧山 | 135m | 강북구, 성북구 | 오패산과 이어져있으며, 명칭도 섞어 쓰이는 듯 하다. | |
봉화산 | 烽火山 | 138m | 중랑구 | ||
북악산 | 北岳山 | 342m | 종로구 | 경복궁의 뒤쪽에 위치해있으며, 동서를 이어주는 길은 드라이브 코스로 인기가 있다. | [8] |
북한산 | 北漢山 | 837m | 도봉구, 은평구, 종로구, 의정부시, 고양시, 양주시 | 서울과 경기도를 대표하는 산으로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의 세 봉우리가 모여있어 삼각산으로도 불린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9] |
불암산 | 佛岩山 | 508m | 노원구, 남양주시 | 산내에 불암사가 있으며 정상 부분 전체가 바위로 구성된다. | [10] |
삼성산 | 三聖山 | 481m | 관악구, 구로구, 안양시 | 원효대사가 의상, 윤필과 입산하여 수도한 곳이라 삼성산이라 부른다. | |
성산 | 城山 | 66m | 마포구 | 성산동의 진산(鎭山)이다. | |
수락산 | 水落山 | 638m | 노원구, 의정부시, 남양주시 | 금류폭포와 내원암이 있으며, 바위 경치가 뛰어나다. | [11] |
아차산 | 峨嵯山 | 287m | 광진구, 구리시 | 삼국시대의 전략 요충지로 온달장군의 전설이 전해져 온다. 대성암, 석곽분, 다비터, 봉수대 등이 있다. | [12] |
안산 | 鞍山 | 296m | 서대문구 | 정상에서 서울 시내가 한눈에 보이며 봉원사와 봉수대가 있다. | [13] |
오패산 | 123m | 성북구, 강북구 | 현재 북서울꿈의숲이 조성되어있다. | [14] | |
와우산 | 臥牛山 | 79m | 마포구 | 홍익대학교 뒷쪽에 위치하여 있으며, 약수터와 근린공원이 들어서있는 야트막한 산이다. | |
용마산 | 龍馬山 | 596m | 광진구 | [15] | |
용왕산 | 龍王山 | 78m | 양천구 | 정상에서 서울시내 조망이 가능하며 주민들을 위해 운동장이 개방되어 있다. | [16] |
우면산 | 牛眠山 | 293m | 서초구, 과천시 | 예술의 전당 뒷편과 남부터미널 입구 길로 우면산에 올라갈 수 있다. | [17] |
우장산 | 99m | 강서구 | 화곡동의 진산(鎭山)이다. | ||
응봉산 | 應峰山 | 81m | 성동구 | 훼손된 자연을 개나리동산으로 가꾸어 놓았다. 주변 동은 산 이름을 딴 응봉동이다. | |
인릉산 | 仁陵山 | 326m | 서초구, 성남시 | 인릉이 있기 때문의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나, 일제에 의해 왜곡된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 |
인왕산 | 仁王山 | 338m | 서대문구 | 높지 않은 바위산이지만 바위가 아름답고 정상에서 보이는 도시 풍경으로 유명하다. | [18] |
일자산 | 一字山 | 150m | 강동구, 하남시 | 一자로 쭉 뻗어있는 모양이라 일자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서울시와 하남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 |
천마산 | 144m | 송파구, 하남시 | 면적은 174,710㎢이며, 정상에서 송파구 일대가 한눈에 들어와 전망이 좋다. | ||
천장산 | 天藏山 | 140m | 동대문구 | 경희대학교 뒷쪽에 위치해있다. | |
청계산 | 淸溪山 | 618m | 서초구, 과천시, 의왕시, 성남시 | 정상에서 과천시와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경마장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 [19] |
초안산 | 楚安山 | 114m | 도봉구, 노원구 | 내시들과 사대부들의 무덤이 위치해있으며, 근린공원도 마련되어있다. | |
호암산 | 390m | 금천구, 시흥시 | 산세가 호랑이 형상을 닮았다 하여 일명 호암산(虎巖山)이라고도 한다. |
[숨기기]
서울특별시의 산 | |
---|---|
|
|
|
'건강 > 서울의 산, 그외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사봉(179m) (궁교산) 6/39회차 (0) | 2013.05.08 |
---|---|
남한산(522m) 등산(5/39회차) (0) | 2012.06.06 |
개운산(328m) (개운산 숲길) 4/39회차 (0) | 2012.05.14 |
우장산(99m) 산행 : 3/39회차 (0) | 2011.10.24 |
개화산(132m) : 2/39회차 (0) | 201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