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북한산둘레길

북한산둘레길 20, 19코스

달 과 해 2012. 3. 18. 09:19

2012년 봄이 완연하다

청담동 친구와 길을,, ,,,,,,,,,,,북한산둘레길 20코스와 19코스를 오늘 화요일(20일)다녀 왔다.

 

3호선 지하철로 수유역 도착한 시각은 11시 30분 이다.

 

3번 출구로 나가서 153번 버스에 승차하여(120번 버스를 이용해도 좋음) 종점에서 하차하고 방학동 300m 지점에서 출발점인데

왕실묘역길이라 쓰여 있고 크게 개선문 처럼 만들어져 있다.

 

제20코스는  (왕실묘역길인데) 우이령길 입구에서 정의공주묘 까지1.6Km 짧은 구간이다. 

제19코스는  (방학동길) 정의공주묘에서 무수골 까지 3.1Km 를 구경하며 맑은 공기마시며 담소하며 걸었다..

천천히 걸었기에 20코스는 40분 , 19코스는 1시간 30분 으로 전체 2시간 10분 정도 소요된것 같다.

점심은 늦은 시각에 간단한 매뉴로 끝내고 도봉역에서 지하철 타고 창동역에서 4호선으로 환승하고 충무로에서 3호선으로 바꿔타고 집에오니 5시 조금 넘었다.

 

참고

능, 원, 묘 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왕족의 무덤은 능, 원, 묘로 구분하는데

 

 

왕과 왕후의 무덤은 능,

 

 

세자,또는 왕을 낳은 아버지,친어머니가 묻힌곳은 원,

 

 

그외의 왕족의 무덤은 라한다.

 

 



 

20코스 입구에 설치된 안내

 

 

 입구 첫머리

 

 

 

중간지점

 

 

 연산군 묘 사당

 

한때 왕이었으나 폐위되어 군으로 격하되었기에 능이 아닌 묘로 불리어지게 된것이다.

 

연산군 묘 일부분

 

 

 

 

연산군 묘

 

 

 

 

 

 정의공주(문종의 동생이자, 세조의 누나) 묘

 

 

제 19 코스 방학동길 안내

 

 

 

신선봉을 바라보면서

 

 

 

 

 멀리보이는 북한산 속의 풍경

 

 

 무수골 로 가야 하는데?????

 

 

 

무수고을 향해서

 

 

 

무수골 입구에 설치된 방학동길 안내

 

 

 

무수골의 유래 안내을 읽어 보니

무수골은 조선시대부터 전주 이씨 100여가구와 안동김씨 소수가 집촌을 형성하였는데 북한산 깊숙히 있어서 다행히 개발에서 제외되어 현재에도 그 후손들의 일부가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고 안내되어 있었으나  오후 일정 시간 때문에 그 현장을 가지 못했다.